https://www.acmicpc.net/problem/1343

문제

민식이는 다음과 같은 폴리오미노 2개를 무한개만큼 가지고 있다. AAAA와 BB

이제 '.'와 'X'로 이루어진 보드판이 주어졌을 때, 민식이는 겹침없이 'X'를 모두 폴리오미노로 덮으려고 한다. 이때, '.'는 폴리오미노로 덮으면 안 된다.

폴리오미노로 모두 덮은 보드판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보드판이 주어진다. 보드판의 크기는 최대 500이다.

출력

첫째 줄에 사전순으로 가장 앞서는 답을 출력한다. 만약 덮을 수 없으면 -1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XXXXXX

예제 출력 1 복사

AAAABB

예제 입력 2 복사

XX.XX

예제 출력 2 복사

BB.BB

 


[내가 한 풀이]

boards = input().split('.')
answer = ''

for board in boards:
    if len(board) % 2 == 1:
        print(-1)
        break
    else:
        if len(board) >= 4:
            answer += 'AAAA' * (len(board) // 4)
        answer += 'BB' * ((len(board) % 4) // 2) + '.'
else:
    print(answer[:-1])

입력으로 받은 전체 보드판(?)을 split()메소드를 활용해 온점(.)을 기준으로 나눠서 리스트로 만든다.

이후 리스트에 대해 순회하는데, 나는 AAAA와 BB라는 폴리오미노만 갖고 있으므로 홀수칸짜리 보드판에 대해서는 폴리오미노를 덮을 수 없다. 이 경우는 2로 나눈 나머지가 1인 경우에 해당하며, 이땐 -1을 출력하고 break.

보드판이 짝수칸이라면 몇 칸인지에 관계없이 폴리오미노로 덮을 수 있는데, 2칸일 경우에만 처음부터 바로 BB를 채우고 2칸이 아니라면 그냥 무지성으로 AAAA만 신나게 깔아주다가 마지막에 2칸만큼 남으면 BB를 덮으면 된다. 어차피 if-else 이하의 코드는 순회한 보드가 짝수칸일테만 실행되므로, 4칸 이상일 때는 보드칸을 4로 나눈 몫만큼 AAAA를 덮어주고, 이후 나머지 칸에 대해 BB를 덮어준다. AAAA를 다 덮고 남은 칸은 len(board) % 4이다. 

 

마지막엔 출력할 차례. 순회하는 모든 보드판이 죄다 짝수칸이었다면 break문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for문이 종료되지 않았으므로 마지막의 for-else문의 print가 실행된다. 이때 answer의 마지막은 온점(.)이므로 슬라이싱하여 그 전까지만 출력하면 정답이다. 

 


[더 쉬운 풀이]

board = input()
board = board.replace("XXXX", "AAAA")
board = board.replace("XX", "BB")
if 'X' in board:
    board = -1
print(board)

replace메소드를 활용해 처음엔 문자열 내에 등장하는 모든 XXXX를 AAAA로 바꾸고, 이후 다시 문자열 내에 등장하는 모든 XX를 BB로 바꿔주고, 마지막에 X가 남아있다면 -1을 출력하도록 한다.

 

replace메소드는 replace(old, new, count) 총 3개의 파라미터를 받으며 old는 현재 문자열에서 바꾸고 싶은 놈, new는 새로 바꿀 문자, count는 정수를 받으며 변경할 횟수를 의미한다. count는 optional로 입력하지 않으면 문자열 전체의 old를 new로 바꾼다.

그래프같은 걸 탐색할 때, 너비를 우선으로 탐색을 진행하는 것을 너비우선탐색, 영어로는 Breadth First Search라고 하며 줄여서 BFS라고도 부른다. 어떠한 시작점이 있을 때, 그로부터 가까운 것들부터 탐색해나가는 방법으로 맹목적인 탐색을 할 때 사용가능한 방법이다. 이 녀석은 '최단 경로'를 찾아주기 때문에 최단길이를 보장해야 할 때 많이 쓰인다.

 

예시)

출처 : wikimedia commons

이 방법을 구현하려면, 큐(queue)가 필요하다.

더보기

Q . 왜 큐가 필요한가?

 

A. 큐가 선입선출 구조이기 때문에 너비 우선 탐색이 가능하도록 돕기 때문이다.

위 그림을 통해 설명하자면,

 

1) 시작점인 1을 큐에 넣는다.

2) 1을 큐에서 빼고, 1을 방문한 지점이라 처리해준 다음 1과 연결된 2, 3, 4를 큐에 넣는다.

3) 먼저 들어온 2를 큐에서 빼며 방문한 지점이라 처리해주고, 연결된 요소 중 방문처리가 안된 5를 큐에 넣어준다.

4) 가장 앞에 있는 3을 큐에서 빼며 방문한 지점이라 처리해주고, 연결된 요소 중 방문처리가 안된 6, 7을 큐에 넣어준다.

...반복

그럼 이걸 파이썬으로 구현해보자.

 


 

우선 그래프는 다음과 같이 딕셔너리 형태로 표현해봤다.

graph = {
    1 : [2, 3, 4],
    2 : [1, 3],
    3 : [1, 2, 4, 5],
    4 : [1, 3],
    5 : [3, 6],
    6 : [5]
}           # 키에 연결된 value에 있는 리스트가 그 key에 연결된 애들임

그리고 BFS를 도와줄 큐는 다음과 같이 해보자.

queue = []                       # 큐를 리스트 형태로 구현

queue.append(something)          # 큐에 요소를 넣는 동작 : append  ->큐의 뒤쪽에 추가
queue.pop(0)                     # 큐에 요소를 빼는 동작 : pop(0)  ->큐의 앞쪽에 있는 걸 뺌

 그럼 BFS를 다음과 같이 만들 수 있다.

def BFS(graph, start_node):
    visited = []                           # 방문한 요소들이 이 리스트에 저장됨
    queue = [start_node]                   # 큐

    while queue:                           # 큐에 뭔가 있는 동안 이하 내용을 반복한다
        node = queue.pop(0)                # 큐의 제일 앞에 있는 놈을 빼와서
        if node not in visited:            # 만약 이 놈이 방문한 적이 없다면
            visited.append(node)           # 방문처리
            print(node)                    # 그 녀석 출력
            queue.extend(graph[node])      # 그 녀석과 연결된 요소들(graph[node])를 queue에 추가
더보기

※ 참고

어떤 리스트(A라고 가정)의 append메소드의 파라미터로 리스트를 넘기면 리스트 자체가 A리스트의 마지막 요소로 추가되지만, extend메소드의 파라미터로 리스트를 넘기면 그 리스트 자체가 A리스트에 합쳐진다. 

 

ex) A = [1, 2, 3]이고 B = [4, 5]일때,

A.append(B)를 하면 A = [1, 2, 3, [4, 5]]

A.extend(B)를 하면 A = [1, 2, 3, 4, 5]

근데 이 방법에는 문제점이 있다.

그것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코드 중간중간에 print를 써서 현재 queue와 visited에 있는 값들을 하나하나 확인해보고,  걸리는 시간까지 알아보자.

import time

def BFS(graph, start_node):
    start = time.time()
    visited = []
    queue = [start_node]

    while queue:
        node = queue.pop(0)
        if node not in visited:
            visited.append(node)
            print(node)
            print(f'방문 처리 후 visited : {visited}')
            queue.extend(graph[node])
            print(f'큐에 연결된 요소 추가 후 queue : {queue}')
        print("-"*10)
    print(time.time()-start)

 

더보기

실행결과

 

1
방문 처리 후 visited : [1]
큐에 연결된 요소 추가 후 queue : [2, 3, 4]
----------
2
방문 처리 후 visited : [1, 2]
큐에 연결된 요소 추가 후 queue : [3, 4, 1, 3]
----------
3
방문 처리 후 visited : [1, 2, 3]
큐에 연결된 요소 추가 후 queue : [4, 1, 3, 1, 2, 4, 5]
----------
4
방문 처리 후 visited : [1, 2, 3, 4]
큐에 연결된 요소 추가 후 queue : [1, 3, 1, 2, 4, 5, 1, 3]
----------
----------
----------
----------
----------
----------
5
방문 처리 후 visited : [1, 2, 3, 4, 5]
큐에 연결된 요소 추가 후 queue : [1, 3, 3, 6]
----------
----------
----------
----------
6
방문 처리 후 visited : [1, 2, 3, 4, 5, 6]
큐에 연결된 요소 추가 후 queue : [5]
----------
----------

0.007978439331054688 

대략 0.007초가 걸렸다.

이 코드의 문제점은 그럼 뭘까?

 

어떤 요소를 방문처리해주고(visited.append(node))

그 요소와 연결된 요소들(graph[node])를 큐에 추가해줄 때, 방문한 적 없는 요소들만 추가해야 한다.

근데 위 코드는 일단 연결된 요소들 전부 큐에 추가해주고, 나중에 큐에서 꺼낼 때 꺼낸 값이 방문한 적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기 때문에 쓸데없이 시간을 낭비하는 꼴이 된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바꿔줄 수 있다.

def BFS(graph, start_node):
    visited = []
    queue = [start_node]

    while queue:
        node = queue.pop(0)
        if node not in visited:
            visited.append(node)
            print(node)
            for nd in graph[node]:             # 연결된 요소들에 대해 하나하나 따진다
                if nd not in visited:          # 방문한 적 없는 요소여야
                    queue.append(nd)           # 큐에 추가

그러나 이 방법도 문제점이 있다. 큐에 원소들을 추가해주는 작업을 하는 부분을 보면 graph[node]에 해당하는 리스트의 원소들을 루프문으로 돌기 때문에, 시간낭비가 역시 생길 수 있다!

 

이 문제점을, set이라는 자료형를 사용해 상당히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다.

더보기

※  set??

: 수학으로 치면 '집합'의 개념에 해당하는 자료형. set이란 키워드를 이용해 만들 수 있고, set()의 괄호 안에 리스트나 문자열을 넣어주어 만들 수 있다(ex : a = set([1, 2, 3], b = set("hello")   → 참고로 집합 자료형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때문에 b의 경우는 i가 2개가 아니라 1개만 있는 형태가 된다. 암튼 이를 통해 교집합/차집합/합집합을 구하는 듯한 연산을 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visited에 방문한 적 없는 친구들을 넣어주는 것이 가능! 

 

예를 들어, a = set(1, 2, 3)이고 b = set(3, 4, 5)라 해보자. a와 b의 합집합 a|b = 1, 2, 3, 4, 5가 된다! 또한, 차집합 a - b = 1, 2가 된다. 이를 통해 graph[node]의 리스트 중에서 방문한 적 없는 요소들, 즉 visited리스트에 없는 요소들만 더하려면 queue에다가 set(graph[node]) - set(visited)를 더해주면 됨

그래서 다음과 같이 해준다.

def BFS(graph, start_node):
    visited = []
    queue = [start_node]

    while queue:
        node = queue.pop(0)
        if node not in visited:
            visited.append(node)
            print(node)
            queue += (set(graph[node]) - set(visited))

그러나 아직까지도 문제가 있다..ㅋㅋㅋㅋㅋㅋ

큐에서 제일 첫 번째 녀석을 빼주는 queue.pop(0)이 문젠데, 이 녀석의 시간복잡도가 O(n)이라는 것.

이는 collection 라이브러리에 있는 deque를 사용해 해결가능하다.

 

그리고 visited가 리스트로 되어있는데,

if in 또는 if not in방법은 리스트에서 하면 이 역시 시간복잡도가 O(n)이다.

따라서 visited를 딕셔너리 또는 집합(set)으로 해주는 게 더 빠르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해주자.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BFS(graph, start_node):
    visited = {}
    queue = deque([start_node])

    while queue:
        node = queue.popleft()
        if node not in visited:
            visited[node] = True
            print(node)            
            queue += (set(graph[node]) - set(visited))

누군가 x의 y승은 얼마인가? 라고 물었다. 그에 대한 대답은?

그냥 x ** y를 리턴하면 되긴 하지만(Python 기준), 그거 말고.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ef pow(x, y):
    answer = 1
    for i in range(y):       
    	answer *= x
    return answer

이 방법의 시간복잡도는 O(y)이다.

 

근데 더 빠르게 구할 순 없을까?


첨에는 단순하게, 저 방법은 루프를 y번 돌면서 하는거니까 루프횟수를 줄이면 된다고 생각했다.

만약 x의 y승을 구할 때 y가 짝수라면

x의 y승 = (x의 y/2승) * (x의 y/2승)

이고, y가 홀수라면

x의 y승 = (x의 y/2승) * (x의 y/2승) * (x)

이므로, 루프를 y번까지 돌 필요없이 y의 반 정도까지만 돌면 된다!고 생각해서 다음과 같이 코드를 짰었다.

def pow(x, y):
    answer = 1
    for i in range(y//2):
        answer *= i
    if y%2 == 0:                     # y가 짝수
        return answer * answer
    else:                            # y가 홀수
    	return answer * answer * 1

그러나 이것의 시간복잡도도 O(y)이다. y가 커질수록 y의 반까지만 루프를 돈다는 건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

 

그러나 이것의 시간복잡도를 O(lg y)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우선 거듭제곱을 구할 때 루프가 아니라 재귀로도 구할 수 있다는 점에 힌트가 있다.

다음과 같이 코드를 짜면 재귀의 방법으로 거듭제곱을 구할 수 있다.

def pow(x, y):
    if y == 0:
        return 1
    return x * pow(x, y - 1)

물론 저것의 시간복잡도 역시 아직은 O(y)임.

 

그러나 예를 들어서, 2의 8승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자.

 

2의 8승 = (2의 4승) * (2의 4승)

2의 8승 = ((2의 2승) * (2의 2승)) * ((2의 2승) * (2의 2승))

.....

 

즉 다음과 같이 가능하다는 말.

def pow(x, y):       
    if y == 1:
        return 1
    return pow(x, y//2) * pow(x, y//2)    # 물론 y가 짝수일 때만 가능

근데 같은 내용에 대해 재귀를 두 번 호출할 필요는 없으니, 다음과 같이 하는게 더 빠르다.

def pow(x, y):       
    if y == 1:
        return 1
    sub_answer = pow(x, y//2)
    return sub_answer * sub_answer    # 물론 y가 짝수일 때만 가능

아까 x의 y승을 구할 때 y가 홀수라면 x의 y승 = x의 y/2승 * x의 y/2승 * x라고 했었으니, y가 홀수일 때도 포함해 다음과 같이 완성 가능하다.

def pow(x, y):       
    if y == 1:
        return 1
    sub_answer = pow(x, y//2)
    
    if y%2 == 0:
    	return sub_answer * sub_answer    
    else:
        return sub_answer * sub_answer * x

이렇게 하면 O(lg y)의 시간복잡도로 거듭제곱을 더 빠르게 계산할 수 있다.


내가 한 거랑 뭐가 달랐던 걸까?

우선 기본적인 접근법은 같았던 것 같다. y가 짝수인지 아닌지에 따라, 2/y까지만 곱한 걸 다루는 면에서.

그러나 y가 만약 16으로 주어졌을 때, x의 16승은 x의 8승 * x의 8승이 맞긴 하지만 x의 8승을 구하는 것도 다시 반으로 쪼개서 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했다.

 

+ Recent posts